본문 바로가기
금융.지원금

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안내

by Coffee-Lover 2025. 3. 2.

대학에 진학하면서 학비뿐만 아니라 주거비 부담까지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. 특히 원거리로 대학을 진학한 경우, 월세나 기숙사비 등 주거비 부담이 상당할 수 있는데요.

 

이를 완화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2025년부터 "주거안정장학금"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습니다. 이 장학금은 기초 및 차상위 계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, 매달 일정 금액을 지원해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목표입니다.

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안내
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안내

🔹 주거안정장학금 지원 내용

  • 지원 금액: 매월 최대 20만 원 지원
  • 지원 대상: 원거리 대학에 진학해 통학이 어려운 기초 그리고 차상위 계층 대학생
  • 참여 대학: 총 255개 대학에서 시행
  • 신청 기간: 2025년 3월 4일 ~ 3월 18일
  • 신청 방법: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및 모바일 앱에서 신청 가능

↓   최대 20만원 지원하기 ↓

구글앱
애플앱

🔹 원거리 대학 진학 기준

주거안정장학금의 지원 대상이 되려면 대학과 부모님의 거주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있어야 합니다. 즉, 수도권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으며, 지역 간 이동이 필요한 경우 지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안내
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안내

✅ 원거리 진학 판단 기준 예시

대학 소재지부모님 거주지지원 여부판단 이유

대학 소재지 부모님 거주지 지원 여부 판단이유
서울특별시 경기도 성남시 ❌ 불가 수도권 내 이동 가능
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✅ 가능 수도권과 대전권은 다른 교통권
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진주시 ❌ 불가 같은 도 내 인접 지역
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남원시 ✅ 가능 인접하지 않은 지역

🔹 지원 범위

장학금은 단순한 생활비 지원이 아닌, 학생이 실제로 부담하는 주거비에 대해 지원됩니다.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포함됩니다.

  • 임차료: 월세, 전세보증금, 기숙사비, 고시원비 등
  • 주거 유지·관리비: 공동주택 관리비, 시설 수선 비용 등
  • 수도·연료비: 전기, 수도, 가스, 난방비 등
  • 주택 임차·저당 차입금 이자: 대출 이자 일부 지원 가능

🔹 신청 방법 및 절차

주거안정장학금 신청은 국가장학금(2차) 신청 기간과 동일하게 진행됩니다. 따라서 신입생, 편입생, 재입학생, 복학생 및 1차 신청을 하지 못한 재학생도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신청 방법: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및 모바일 앱을 통해 24시간 신청 가능
  • 문의 방법:
    • 한국장학재단 전화 상담: ☎ 1599-2000
    • 지역 재단 센터 방문 상담(1:1 맞춤 상담 가능) 

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안내
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안내

🔹 2025년 주요 변경사항

올해부터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. 기존 8구간에서 9구간까지 확대되었기 때문에, 이전에는 장학금 신청이 불가능했던 학생들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 

따라서 자신이 해당하는지 꼭 확인하고 기한 내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마감일 이후에는 2025년 1학기 국가장학금을 신청할 수 없으니 꼭 기간 내 신청하세요!

🔹 추가 문의

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교육부 평생직업교육정책관 청년장학지원과(☎ 044-203-6278)로 문의하세요.

📌 주거비 부담을 덜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, 이번 주거안정장학금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! 💡

 

 

 

한국장학재단 - Google Play 앱

이제 모바일 앱으로 편리하게 국가장학금, 학자금대출을 신청하세요!

play.google.com

 

예술인 지원금 창작 지원에서 생활 안정까지

예술인 지원금은 예술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창작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고,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중요한 재정적 지원 제도입니다. 정부와 관련 기관은 이 제도를 통해 예술인들의

the-coffee-lover.tistory.com

 

반응형